카테고리 없음

접속사 That이 만드는 명사절

pathwaytotrueself 2025. 9. 9. 00:10

영어 문장에서 that은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접속사로 쓰일 때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명사절을 만드는 것입니다.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오고, 이 전체가 하나의 명사처럼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덕분에 단어가 아닌 문장이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때 that 절을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문장을 통해 사실이나 생각, 의견을 통째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에서는 명사절 that의 세 가지 대표적 위치—주어, 목적어, 보어—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주어 자리에 오는 that 절

that 절은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라는 사실이 …하다”라는 형태로 해석됩니다.

 

-  That she passed the exam surprised everyone.
 → that she passed the exam 전체가 주어입니다. “그녀가 시험에 합격했다는 사실이 모두를 놀라게 했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  That he lied to his friend was disappointing.
 → 주어는 “그가 친구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이며, 문장의 전체 의미는 “그가 친구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이 실망스러웠다” 됩니다.

 

주어 자리에 오는 that 절은 반드시 that을 써야 하며 생략할 수 없습니다.

접속사 That이 만드는 명사절

 

2. 목적어 자리에 오는 that 절

가장 흔히 쓰이는 용법은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오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라는 것”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I believe that honesty is the best policy.
 → 목적어는 that honesty is the best policy입니다. “정직이 최선의 방침이라는 것을 믿는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 She said that she would help me.
 → that she would help me가 목적어 역할을 하며, “그녀는 자신이 나를 도와줄 것이라고 말했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목적어 자리에 오는 that은 구어체에서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I believe honesty is the best policy.라고 해도 문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글쓰기에서는 that을 넣어 주는 것이 문장의 구조를 더 명확하게 보여 줍니다.

 

3. 보어 자리에 오는 that 절

보어 자리에 that 절이 올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주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   The truth is that he never came.
 → 보어는 that he never came이며, “진실은 그가 결코 오지 않았다는 것이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
 → 보어는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이며, “문제는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보어 자리에 오는 that 절은 문장의 주제를 명확히 드러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접속사 that은 영어에서 명사절을 이끌어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문장 전체를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작은 단어 하나가 문장 전체를 하나의 덩어리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주어 자리에 올 때는 반드시 that이 필요하고, 목적어 자리에 올 때는 구어체에서는 생략될 수 있으며, 보어 자리에 올 때는 주제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기능을 합니다. 명사절 that을 정확히 이해하면 영어 문장의 구조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더 폭넓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